본문 바로가기
건강 히스토리

경남 경북 코로나19 재택치료 의료상담센터 전화상담 약 처방 병원

by (~ ̄(OO) ̄)ブmass! 2022. 8. 3.

경남 경북 코로나19 재택치료 전화상담 약 처방 받는 의료상담센터 병원 요양기관 목록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의료상담센터는 재택치료자 중 발열 등 증상이 있는경우 전화로 간편하게 처방이 가능하니 미리 알아두시기 바랍니다. 

 

 

목차

     

    전화 상담 · 처방 가능 재택치료 의료상담센터 안내

    코로나19-의료상담센터
    재택치료-전화상담

     

    1) 재택 치료 모니터링 중단!

    방역 당국은 8월 1일 부터 코로나 확진을 받아 재택치료를 하고 있는 60대 이상, 면역저하자 등의 고위험군 환자들을 대상으로 시행하고 있던 재택치료 건강 모니터링을 중단한다고 밝혔는데요.

     

    정부가 그 동안 재택치료를 받고 있었던 고위험군 확진자들을 대상으로 '하루 한 번 전화를 통하여 건강 상태를 체크하는 건강 모니터링' 을 시행하였으나 8월 1일 부로 종료하였습니다. 7월 31일 기준으로 재택치료자는 49만 36명이 넘었고, 집중 관리군은 2만 1958명으로 집계되었습니다. 이 집중관리군에 한한 모니터링이 중단된 것입니다.

     

     

    2) 건강 모니터링 중단이유 ?

    방역당국에서는 그 동안 부족했던 대면진료 환경이 확충되었다고 판단하였고 먹는 치료제도 처방이 확대되면서 재택치료자 누구나 증상이 악화되었을 때 대면진료를 통하여 신속하게 대응이 가능해져 고위험군 중증화를 방지할 수 있다는 판단하에 결정을 하였는데요.

     

    코로나 진단 검사부터 진료, 먹는 치료제 처방까지 모두 가능한 '원스톱진료센터'는 현재 전국 8773개소 확보되었으몀 이를 포함한 호흡기환자진료센터는 총 1만 3325개가 운영중입니다.

     

     

    코로나 확진자 대상 재택치료비 일부 지원
     

    코로나19 재택치료비 일부 지원

    코로나 확진자 대상 재택치료비 본인부담금 일부에 대한 지원이 이뤄진다는 소식입니다. 확진자가 일일 10만명이 넘어서면서 재유행 단계에 본격적으로 들어섰는데요. 보건복지부에서 재택치

    reviewswagger.tistory.com

     

     

    3) 24시간 의료상담센터

    건강 모니터링이 1일부로 종료되었지만 위급한 상황에 대비하여 24시간 의료상담센터는 계속 운영을 하기로 하였습니다. 의료상담센터는 지역별로 다르기 때문에 아래 정리되어 있는 목록을 통해 숙지하시기 바랍니다. 방역당국은 증상이 악화될 경우 지역 24시간 의료상담센터에 연락을 취하거나 위급한 상황은 119에 연락을 하라고 안내하였습니다.

     

    ▪ 재택치료자 중 발열 등 증사이 있는 경우 -> 전화 상담 및 처방 가능한 재택치료 의료상담센터

     

    ♻기초의료상담을 실시하고, 필요시 의약품을 처방하는 24시간 운영센터(지자체 운영)

     

     

    코로나 PCR 검사 방법 / 비용

     

    코로나19 PCR 검사방법 비용 | 소용시간, 음성확인서

    코로나가 재유행을 하면서 출장, 여행을 위하여 PCR 검사를 많이 받으실텐데요. 저도 이번에 해외여행을 위하여 PCR 검사를 받을 계획이 있네요. 오늘은 코로나19 PCR 검사 비용 및 방법, 소요시간,

    learn-up.tistory.com

     

     

    카카오톡 4차 부스터샷 당일 접종 예약

     

    카카오톡 4차 부스터샷 당일 예약 접종 총정리 | 카카오뷰 잔여백신

    잔여백신 조회, 카카오톡 당일 예약방법 다시 코로나가 재유행하면서 4차백신 부스터샷을 맞으라는 권고가 나왔는데요. 대한민국에서 가장 많이 이용하고 있는 메신저 서비스 '카카오톡' 을 통

    learn-up.tistory.com

     

    🔥재택치료자 의료상담센터 비대면 진료로 약 처방 받는방법

    재택치료-약처방
    의료상담센터-처방

     

    각 지역별로 의료상담센터 전화번호가 존재하는데요. 상담센터로 접수 정보 (이름/주민번호/전화번호/ 국적/주소/성별) 등을 안내된 번호로 문자&연락을 하면 진료안내가 시작됩니다.

     

    먼저 상담원과 인적사항을 확인한 다음 의사선생님과 진료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 선생님과 증상에 대한 진료를 받고 난 후 '코로나 19 확진자 대상 지정약국' 으로 처방전이 전달되어 약조제가 가능하고, 퀵으로 배송받을 수 있다는 안내를 받을 수 있는데요. 생각보다 간편하게 이용이 가능했습니다.

     

     

     

     

    경남 코로나19 재택치료 의료상담센터 

     

    경상남도-재택치료-의료상담센터
    경상남도-전화상담

     

     

    시·도 시·군·구 요양기관명 전화번호 비고
    경남 창원시(창원) 창원한마음병원 055-225-0417~8 소아병행(24시)
    *소아진료가능
    경남 창원시(마산) 청아병원 055-230-1572 소아병행(24시)
    *소아진료가능
    경남 창원시(진해) 우리병원 055-716-0118 소아전담(24시)
    경남 진주시 서울내과의원 010-4128-5714 일반(24시)
    *소아진료불가
    경남 진주시 아이비소아청소년과이비인후과의원 010-4182-5714 소아병행(24시)
    *소아진료가능
    경남 진주시 진주고려병원 010-4184-5714 일반(24시)
    *소아진료불가
    경남 진주시 제일병원 010-4516-5714 소아병행(24시)
    *소아진료가능
    경남 통영시 SCH서울아동병원 055-647-0778
    소아전담(주간형)
    경남 통영시 대우의료재단 대우병원 055-680-8500 소아병행(24시)
    *소아진료가능
    경남 사천시 삼천포제일병원 055-830-3099 소아병행(24시)
    *소아진료가능
    경남 사천시 하나병원 055-855-1112 일반(24시)
    *소아진료불가
    경남 사천시 우리메디컬의원 055-850-7539  
    경남 김해시 김해중앙병원 055-900-6523 소아병행(24시)
    *소아진료가능
    경남 김해시 진영새싹병원 055-724-3119
    소아전담(주간형)
    경남 김해시 서울새싹병원 055-312-9000
    소아전담(주간형)
    경남 밀양시 밀양윤병원 010-8882-3361 일반(24시)
    *소아진료불가
    경남 거제시 대우의료재단 대우병원 055-680-8500
    일반24시
    소아병행24시(12개월이상)
    경남 거제시 의료법인 거붕백병원 055-733-0000
    일반24시
    소아병행24시(12개월이상)
    경남 거제시 맑은샘병원 055-736-1004
    일반24시
    소아병행24시(12개월이상)
    경남 거제시 거제아동병원 055-632-8225 소아전담(24시)
    입원가능 3.9~
    경남 거제시 서울아동병원 055-633-7599 소아병행(24시)
    *소아진료가능
    경남 양산시 홍익요양병원 055-364-7565 일반(24시)
    *소아진료불가
    경남 양산시 평심요양병원 055-800-7090 일반(24시)
    *소아진료불가
    경남 양산시 경남도립양산노인전문병원 055-375-7275 일반(24시)
    *소아진료불가
    경남 양산시 서울패미리병원 055-785-2020
    소아전담(주간형)
    경남 양산시 웅상중앙병원 055-912-0119 일반(24시)
    *소아진료불가
    경남 양산시 연세 빛 가정의학과 의원 055-382-7119  
    경남 의령군 의령병원 055-573-6806 일반(24시)
    *소아진료불가
    경남 함안군 아라한국병원 055-582-8088 일반(24시)
    *소아진료불가
    경남 함안군 영동병원 055-586-2000 일반(24시)
    *소아진료불가
    경남 창녕군 창녕서울의료재단 창녕서울병원 055-530-1975 
    055-530-7671
    일반(24시)
    *소아진료불가
    경남 고성군 강병원 055-673-0101 일반(24시)
    *소아진료불가
    경남 고성군 더조은병원 055-672-1111 일반(24시)
    소아(주간형)
    경남 남해군 남해병원 055-860-6630
    일반(24시)
    소아전담(주간형)
    경남 하동군 하동중앙의원 055-883-0208 일반(24시)
    *소아진료불가
    경남 하동군 하동여성군민의원 055-883-8788 일반(24시)
    *소아진료불가
    경남 산청군 함양성심병원 070-8989-0396 일반(24시)
    *소아진료불가
    경남 함양군 함양성심병원 070-8989-0396 소아병행(24시)
    *소아진료가능
    경남 거창군 거창적십자병원 010-9473-3251 055-949-3345 소아병행(24시)
    *소아진료가능
    경남 합천군 바른윤내과 055-934-2322 일반(24시)
    *소아진료불가

     

     

    경북 코로나19 재택치료 의료상담센터

     

    경상북도-의료상담센터
    경북-재택치료-전화상담

     

     

    시·도 시·군·구 요양기관명 전화번호 비고
    경북 포항시 포항의료원 054-245-0648
    일반(24시), 소아진료 불가, 영천, 경산, 청도, 고령, 성주, 울진
    경북 포항시 포항세명기독병원 054-289-2154
    010-9329-1901
    일반(24시), 소아진료 불가, 포항시, 경주시
    경북 영덕군 영덕아산병원 054-730-0155
    일반(24시), 소아진료 불가, 청송군, 영양군, 영덕군, 울진군
    경북 김천시 김천의료원 010-2934-0145
    010-2819-0145
    010-2769-0145
    일반(24시) 소아진료가능(주간), 김천, 구미, 군위, 칠곡
    경북 안동시 안동의료원 010-2834-0145
    010-2743-0145
    010-2960-0145
    일반(24시), 소아진료 불가, 안동, 영주, 상주, 의성, 봉화
    봉화, 울진, 영덕, 영양, 청송
    경북 경주시 한빛아동병원 010-2968-0145
    010-2862-0145
    010-2863-0145
    경북 도내 전체(소아 · 청소년 전담, 주간형)
    경북 경주시 동국대학교 경주병원 054-770-1355
    경북 도내 전체(소아 · 청소년 전담, 24시)
    경북 문경시 동춘의료재단 문경제일병원 010-5760-1265 
    010-5474-1280
    일반(24시), 소아진료 불가, 문경시
    경북 문경시 의료법인 서일의료재단 문경중앙병원 054-555-2011 문경
    경북 예천군 예천권병원 평일주간 054-650-2188
    야간및공휴일 010-9447-6613
    예천
    경북 구미시 차의과대학교부속 구미차병원 010-9668-8972
    경북 도내 전체(소아 · 청소년 전담, 24시), 3.24상담개시

     

     

    ✔코로나 재유행 대비 방역 의료 대응 추가대책

    코로나-재유행-대응체계
    재택치료-대응체계

     

    🔳 주요내용

    .① 동네 병 의원을 통한 신속한 진료 - 처방체계 구축

    ▪(원스톱진료) 가까운 동네 병의원 한곳에서 진료와 검사, 치료제 처방까지 모두 가능한 '원스톱진료기관' 지정 대폭 확대 ▪(패스트트랙) 중증 입원치료 등 중증화 완화를 위하여, 신속한(1일 내) 먹는 치료제 처방이 가능한 패스트트랙 확대 운영

     

    -치료제 처방 활성화 : 원내처방 기관 확대, 치료제 처방하는 패스트트랙 참여 원스톱진료기관 대상 지원 방안 마련

     

    *팍스로비드 효과 : 60세 이상에서 중증화 위험도 63%, 사망 위험도 56% 감소

     

    ② 중증환자 집중관리를 위한 치료병상 확보 및 관리

    ▪(필요병상 확보) 일 확진자 30만명 가정 시, 중증환자 치료를 위해 4천여 병상 혹보 필요

    ▪(일반의료체계 활용) 중등증 및 비코로나 질환 환자는 다니던 의료기관에서 치료받으며, 가까운 일반격리병상을 활용한 자율입원유도

    ▪ (병상효율 관리) 전담병상 배정기준 강화 및 현장 모니터링 등을 통해 불필요한 중증병상 입원수요 차단 등 재원 적정성 관리병행

     

    ③ 요양시설 병원 등 감염취약시설 특별관리

    ▪ (집단감염 위험) 7월 이후, 파주 민들레병원을 비롯해 요양시설 18건 , 요양병원 6건, 장애인시설 5건, 정신병원 3건 등 집단감염 사례 발생

    ▪ ( 방역수칮 조정) 종사자 선제검사 강화 , 면회 및 외출 외박제한 등을 조기 제한(7.25)하여, 외부 감염요인 유입을 차단

    댓글